엘리엇파동이란 엘리엇이라는 사람이 발견한 가격 변동의 법칙이다. 가격의 변동에는 일정한 리듬(파동)이 작용하고 있으며 5번의 상승(하락)과 3번의 하락(상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즉, 한 번의 가격 변동에 모두 8번의 파동이 발생한다는 법칙으로 선물이나 지수(나스닥지수, 코스닥지수, 코스피지수 등)에 적합한 이론이다. 때문에 개별종목에 이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보조지표를 함께 적용해야 승률을 올릴 수 있다.
엘리엇 파동 이해와 각 파동(구간)의 특징
주가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상승 시에는 5번의 상승파동과 3번의 하락 파동이 발생한다. 반대로 하락 시에는 5번의 하락 파동과 3번의 상승 파동이 발생한다는 법칙으로 각 각의 파동에는 다음과 같은 법칙들이 존재한다.
<상승(하락) 파 특징>
- 1파 : 1파는 다음 파동이 발생해야 지금 보는 파동이 1파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때문에 거래가 불가능하다.
- 2파 : 1파의 38.2%나 61.8% 되돌림이 발생하지만 1파의 저점을 깨지는 않는다. 2파는 3개의 A, B, C파로 구성되며 C파 가 A파보다 더 크게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3파 : 1파의 1.618배 비율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빠르고 힘있게 상승하는 구간으로 개인이 수익을 보기 어려운 구간으로 절대 짧은 구간일 수 없고 연장파가 잘 나타난다. 대응 방법은 1파 고점을 돌파하다 다시 고점 이하로 떨어지면 손절해야 한다.
- 4파 : 3파의 38.2% 되돌림 구간으로 2파의 길이와 비슷하다. 차트패턴 중 삼각형 패턴이 나오는 유일한 구간으로 2파와는 반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즉, 2파가 지그재그형(플랫형)이면 4파는 플랫형(지그재그형), 2파가 복잡(깔끔)하면 4파는 깔끔(복잡)한 모습을 보인다. 1파 고점을 하회하거자 근처에도 가지 않지만 만약 1파 고점을 하회한다면 즉각 손절해야 한다.
- 5파 : 1파와 길이가 같거나 최소 61.8% 길이를 보인다. 3파의 고점을 넘지 못하고 미달하는 경우 '단절'이 발생하면서 하락파로 연결될 수도 있다. 만약 5파가 연장파가 된다면 불규칙 파동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하락(상승)파 특징>
- A파 : A파가 5개로 이루어져 있다면 B파는 3개, C파는 5개로 예상 가능하다.
- B파 : A파 길이의 38.2%나 61.8% 되돌림이 발생할 수 있다.
- C파 : 3파처럼 강하고 급하게 떨어진다. 대부분 매도에 나서며 C파가 완성되면 시장은 강한 약세를 나타낸다.
엘리엇 파동은 상승과 하락에 소요되는 시간이 3:7의 비율을 보이며 각 파동은 직전 파동의 크기 비율로 예측이 가능하다. 만약 삼각형을 보이는 파동이 있다면 직전 파동의 61.8% 비율로 되돌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실전에서 5파가 꼭 발생한다는 보장은 할 수 없지만 3파는 꼭 발생한다. 따라서 3파를 공략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파(구간)를 보고 3파(구간)를 예측하는 법>
① 일반적인 상승(하락) 장에서 2구간이 3파로 만들어진 경우 파동의 오른쪽 저점이 왼쪽 저점보다 낮은 형태를 보인다.
② 2구간의 3파중 1파의 저점과 3파의 저점이 같을 경우 상승에 대한 힘이 커 상승확률이 높다.
③ 2구간의 3파 저점이 높아진다면 상승 힘이 크기 때문에 수익을 볼 수 있는 구간이다.
엘리엇파동의 올바른 활용방법
서두에서 언급했듯이 엘리엇파동을 개별종목에 적용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엘리엇파동을 선물이나 지수가 아닌 개별종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조지표를 함께 확인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MACD, RSI, Stochastic, 이평선 등이 있다
차트를 분석하는 이유는 투자에 있어 승률을 높이기 위함이다. 선물이나 지수에 엘리엇파동을 적용하는 것은 좋은 방법으로 각 구간의 특징을 잘 적용시킨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ITC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PC) 종료 버튼 만들고 추가하기(컴퓨터 활용 팁) (0) | 2022.05.12 |
---|---|
인터넷 쇼핑몰 트렌드 간편하게 파악하는 방법 (0) | 2022.04.14 |
성공을 위한 '무기가 되는 스토리' 7 가지 공식 (0) | 2021.08.08 |
DJI 포켓 2 vs 인스타 360 GO 2 기능과 스펙(사양) 및 장단점 비교 (0) | 2021.08.03 |
밀레니얼 세대 특징과 소비 트렌드 (0) | 2018.12.08 |
댓글